본문 바로가기
영어공부자료/라이브아카데미

연습가이드 모음 41~50

by weldingsupervisor 2023. 2. 21.

경험을 더 쌓으려고 거기서 몇 달 더 일을 할까 생각은 해봤는데 근데 조건이 별로 좋지 않아서 생각할수록 좀 아닌 것 같더라.

더보기

I considered working there for another several months, you know, for the experience. But the conditions weren't very good and the more I thought about it, it just wasn't worth it.

도대체 뭣 때문에 그렇게 떠들썩한지 보려고 가장 최신 모델을 사려고 해봤는데 나는 기본적인 통화나 문자 외에는 별로 하는 게 없어서 생각할수록 나한테는 별로 의미가 없더라고.

더보기

I considered getting the latest model, you know, to see what the hype was all about. But I never really use it beyond the basic phone calls and texting and the more I thought about it, it just wasn't worth it for me.

에어컨을 설치하려고 했는데 내가 거기에 고작 몇 달 더 있을 거니까 생각할수록 좀 아닌 것 같더라고.

더보기

I considered installing air conditioner but, you know, I'm only going to be there for another several months and the more I thought about it, it just wasn't worth it.

제가 재택근무를 이제 1년도 훨씬 넘게 하고 있는데요 비록 제가 오랫동안 원하던 것이었지만 힘든 점이 물론 없지는 않아요.

더보기

I've been working from home for well over a year now and although it's something that I'd been wanting to do for a long time. it's certainly not without its challenges.

제 마음대로 스케쥴을 짤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에요, 근데 그게 엄청 좋을 것 같지만 일을 규칙적으로 하기 위한 통제력을 유지하는 것이 엄청 스트레스가 되기도 해요.

더보기

It's true I can be as flexible as I want with my schedule but as great as that sounds, it can get extremely stressful to maintain the discipline that it takes to make sure that I'm working regularly.

제 친구들은 제가 집에서 일을 할 수 있어서 엄청 편리하겠다고 말을 하는데, 물론 편리하죠, 근데 평소에 일과 개인생활을 구분하려고 항상 어려워하고 있어요.

더보기

My friends tell me that it must be really convenient to be able to work in my own home and sure it's convenient, but then, I'm constantly struggling to draw the line between work and personal life.

왜냐면, 저는 자는 곳에서 일을 하고 일하는 곳에서 잠을 자는 것이나 다름이 없거든요. 그리고 일을 하는 동시에 개인적으로 볼 일을 보고 있는 경우가 다반사거든요.

더보기

" Because I'm practically working where I sleep and sleeping where I work. And more often than not, I'm trying to take care of personal errands and trying to get work done at the same time.

저희 아버지가 지금 일을 그만두고 다른 직종으로 전환한다고 하신지 이제 거의 2년이 되어가요. 지금 위치까지 오시기 위해 공을 많이 들인 것은 사실이에요

더보기

For almost 2 years now, my father has been talking about leaving his job and pursuing a different career. It's true, he has put in a lot of effort to get to where he is now.

그래서 큰 결정이고 위험부담이 없는 것도 아니에요. 게다가 어머니가 자꾸 그런 얘기를 하세요, 그 것이 우리한테 미칠 영향도 생각하셔야 된다고요.

더보기

So it's a huge decision and it's certainly not without its risk. And my mother keeps saying that he needs to think about how it cold affect us.

물론 그것도 중요하죠. 근데 아버지가 우리를 위해서 평생 희생해야 된다고 누가 그래요? (아니,) 가족을 먹여 살려야 하는 책임이 있긴 하지만, 지금까지 이미 충분히 하셨고 이제는 위험하더라도 다른 것을 해볼 자격이 있으시다고 생각해요.

더보기

And sure that's imprtant, too. But then, who says that we deserve his endless sacrifice? I mean, as much as he's responsible for providing for the family, I think ha has done more than enough all these years, and he deserves to take a chance at something different.

그리고 비록 일이 잘 풀리지 않을 수도 있어도 가족이 그것을 지지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해요. 우리가 최소한 그 정도는 해드려야 한다고 봐요.

더보기

" And even though things might not go well. the rest of my family should be willing to support that. I think that's the least we can do.

와, 너 진짜 모아둔 돈 여기에 다 쓸꺼야?

더보기

Wow, Are you really going to spend all your savings on this?

음, 이왕 이걸 할 거면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봐야겠다 싶더라구. 그게 유일하게 후회하지 않는 방법인 거 같아.

더보기

Well, I figured (that) if I'm going to do this, I might as well try everything I can. I think (that) that's the only way I won't have any regrets.

돈이야 나중에 얼마든지 벌 수 있겠지. 약간은 무모한 것 같긴 한데 이건 흔한 기회는 아닌 것 같아. 나한테는 정말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더보기

And I'm assuming (that) I can always make more money later on, you know? I guess I'm being a little reckless but this seems like a rare opportunity and I feel like it can be a really good experience for me.

그래요, 저는 이 주제에 대해서는 좀 예민해요.

더보기

Alright, so, I feel really strongly about this topic.

제가 하는 일이 이거다보니, 영어를 배우는 사람들을 많이 보게 돼요.

더보기

Given what I do, I come across a lot of people learning English.

사실, 영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많이 보게 된다고 하는 게 맞을 것 같아요.

더보기

Actually, I feel more inclined to say that I come across a lot of people who want to learn English.

많은 사람들이 실질적으로 배우는 과정을 거치기보다는 영어 학습의 방법론에 집착하기 때문이죠.

더보기

And that's because a lot of people obsess over the methodology of learning English instead of going through the actual learning process.

이 주제에 대해 제가 사람들한테 조언을 해줄 때 빼먹지 않고 항상 하는 얘기가 있어요.

더보기

There is something that I never forget to say when I'm advising people on this topic.'

영어를 배우는 것을 악기나 운전하는 것을 배우는 것과 전혀 다르게 생각하지 말라'는 것이에요.

더보기

And that is, "Don't think of learning English any differently from learning to play a musical instrument or learning to drive."

그리고 그거 아세요? 이건 비유가 아니라 말 그대로 사실이에요.

더보기

And you know what? That's not an analogy, that's just straight-up true.

언어를 배우는 것은 우리가 살면서 배우는 그 어떤 것과도 다를 바가 없어요.

더보기

Learning a language isn't any different from anything else that we learn to do in life.

많은 사람들이 제게 이런 영어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고 말하면서 그걸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물어봐요.

더보기

I get a lot of people saying that they have this fear of English and asking how they could overcome it.

근데 생각해보세요. 운전을 무서워하는 사람에게 우리가 보통 뭐라고 하나요?

더보기

But think about it, what do we usually say to people who are scared of driving?'

그냥 해야 돼요.','한번 익숙해지고 나면 별거 아니에요.

더보기

' "You just have to do it.", "It's no big deal once you get used to it

."우리가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는 것은 운전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확실한 방법이 실력을 높이는 것 외에는 없기 때문이죠.

더보기

The reason that this is all we can say is because there (really) is no sure way to overcome the fear of driving other than to get better at it.

두려움을 느끼는 게 잘못인가요? 아니죠! 그리고 마음 속 깊이 우리 모두는 이걸 알고 있고 받아들이고 있어요.

더보기

Is it wrong to feel scared? No! And deep inside, we all know this and we accept it.

영어를 배우는 것도 다를 게 없는데 한국의 영어 교육은 극도로 상업화된 상태이고

더보기

Learning English is no different but English education in Korea has become extremely commercialized

우리로 하여금 빠르고 쉬운 방법을 돈 주고 살 수 있다고 믿게 하는 데 성공했어요.

더보기

and it has succeeded in having us believe that we can purchase a quick and easy way.

그렇다면 우리는 우리의 시간과 돈을 낭비하게 만들었다고 그들을 비난해야 할까요? 아니죠! 이건 비즈니스잖아요.

더보기

So does that mean we should blame them for wasting our time and money? No! it's business.

그들이 상품을 만들고 자신들의 상품을 마케팅하면 소비자인 우리가 스스로 결정을 내리잖아요.

더보기

They come up with products, they market their products and we, the consumers, make the decisions for ourselves.

늘 그래왔어요, 제 말이 맞죠?

더보기

That's how it's always been, am I right?

우리가 반드시 명심해야 하는 것은 그들이 제공하는 것이 학습을 위한 도구와 가이드라인이라는 점이에요.

더보기

What we must not forget is that what they provide are tools and guidelines to learn.

그것들이 우리의 학습을 더 쉽게 해줄까요?

더보기

Will they make it easier for us to learn?

더 쉽게는 아니더라도 더 편리하게는 해줄 거예요.

더보기

Maybe not easier but maybe more convenient.

그런 도구와 가이드라인이 나의 영어 실력을 높여줄까요?

더보기

Will those tools and guidelines improve my English?

그건 전적으로 당신에게 달려 있어요.

더보기

That's completely up to you.

이건 우리한테 안 좋은 물건을 팔려는 회사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에요. 그런 게 아니에요.

더보기

This is not about companies and businesses trying to sell us bad products, no, it's not about that.

이건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우리에 관한 문제에요.

더보기

This is about us coming to terms with what we already know,

뭔가를 배울 때에는 어떤 것도, 누구도 우리를 대신해서 배워줄 수가 없죠.

더보기

that when it comes to learning something, nothing and no one can learn it for us.

우리는 스스로 노력을 해야 하고 고통스러운 학습의 과정을 거쳐야 해요.

더보기

We have to put in the work, and we have to go through the painful process of learning.

분명하게 해두자고요. 이건 단순히 물건을 사서 손에 넣는 것과는 달라요.

더보기

Let's be clear. This is not like buying a product and putting it in our hands.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누군가를 위해 무엇을 사줄 수는 있어도 누군가를 위해 무엇을 배워줄 수는 없는 거에요.

더보기

That's why we can buy something for someone, but we can never learn something for someone.

우리 동네에도 이런 데가 있었으면 좋겠다. 그러면 진짜 좋긴 하겠다.

더보기

I wish we had a place like this in our neighbourhood. That would be really good.

근데 그러면 또, 여기로 찾아오는 재미가 없어지잖아.

더보기

But then we wouldn't have the fun of making the trip to get here.

나도 여기가 정말 좋긴 한데, 바로 근처에 있어서 언제든지 올 수 있으면 지금처럼 여기 오는 게 재밌을 것 같진 않아.

더보기

As much as I love this place, I don't think I would enjoy coming here as much if it was(were) right around the corner and I knew (that) I could come anytime.

제가 지금 재택근무를 1년도 훨씬 넘게 하고 있는데요.

더보기

I've been working from home for well over a year now.

비록 제가 오랫동안 원하던 것이었지만 당연히 힘든 점이 없진 않아요.

더보기

Although it's something that I'd been wanting to do for a long time, it's certainly not without its challenges.

제가 원하는 만큼 자유롭게 스케줄을 짤 수 있는 것은 사실이에요.

더보기

It's true that I can be as flexible as I want with my schedule.

근데 그게 엄청 좋을 것 같지만 일을 규칙적으로 하기 위한 통제력을 유지하는 게 엄청 스트레스가 되기도 해요.

더보기

But as great as that sounds, it can get extremely stressful to maintain the discipline that it takes to make sure that I'm working regularly.

제 친구들은 제가 집에서 일을 할 수 있어서 엄청 편하겠다고 말하는데

더보기

My friends tell me that it must be really convenient to be able to work in my own home

물론 편하죠. 근데 평소에 일과 개인 생활을 구별하는 데 항상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더보기

and it's convenient, but then, I'm constantly struggling to draw the line between work and personal life

왜냐면 저는 자는 곳에서 일을 하고 일하는 곳에서 자는 것이나 다름 없거든요.

더보기

because I'm practically working where I sleep and sleeping where I work.

그리고 일을 하면서 동시에 개인적인 일을 처리하는 것도 다반사거든요.

더보기

And more often than not, I'm trying to take care of personal errands and trying to get work done at the same time.

야, 자꾸 그렇게 부정적으로 굴지 마.

더보기

Hey, stop being so negative.

저는 누나랑 별로 안 친해요. 생활 방식이 서로 많이 달라서 공통점이 별로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 같아요.

더보기

My sister and I aren't very close. I think it's mainly because we just have very different lifestyles so we simply don't have very much in common.

어렸을 때 누나는 싱가폴에 있는 삼촌이랑 오래 지내면서 거기서 학교를 다녔어요. 그래서 저희가 친해질 기회가 없었는데 그런 이유도 있는 것 같아요.

더보기

When we were growing up, she stayed with our uncle in Singapore for many years and she did most of her schooling there. So, we never really got a chance to know each other and I think that's partly the reason (why).

그리고 저는 남자고 누나는 여자라는 사실도 관련이 있겠죠? 서로 통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니까요.

더보기

And, I guess some of it simply has to do with the fact that I'm a man and she's a woman, you know? We can only share and communicate so much.

특히 애초에 남매로서의 유대감이 없으니까 남남이나 다름 없어요.

더보기

Especially without that initial bond as brother and sister, we're practically strangers.

저를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에게서 자주 보이는 것이 있는데, 우리는 여러 다양한 것을 맛만 보고 깊이 있게 경험하지는 않는다는 거예요.

더보기

Something that I can see often happening to a lot of people including myself is we get a taste of so many different things but never go in-depth with anything.

우리 모두가 이미 다 알고 있는 사실이 있는데, 거의 모든 것이 처음에는 재미있고 흥미롭다는 거죠.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얼마 가지 않아 흥미를 잃기 시작해요.

더보기

Here's something we all already know—Most things are fun and interesting in the beginning. But, in a lot of cases, we don't get very far before we start to lose interest.

중요한 것은 이때가 바로 복잡해지고 어려워지는 바로 그 시점이라는 거예요. 근데 우리는 본능적으로 그것이 더 이상 재미있지 않다고만 생각해요.

더보기

The thing is, this is usually when things start to get complicated and difficult. But we instinctively tell ourselves that it's just not fun anymore.

그리고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더 재밌어 보이는 다른 것을 이미 찾고 마는데

더보기

And before we even realize it, we've already found something else that looks more fun.

실은 그 새로운 게 우리에게 더 잘 맞다는 생각에 너무 쉽게 설득되죠. 어디서 많이 들어본 얘기 같지 않아요?

더보기

And it's so easy to convince ourselves that new thing is what we're really into. Sound familiar?

그래서 결국 여기 저기에 조금씩 발만 담그는 식이 되어 버리는 거예요.

더보기

So we end up dabbling in a little bit of this and a little bit of that.

한번 생각해보세요. 다양한 식당을 탐방하는데 메인요리를 먹을 때까지 참지 못하고 늘 애피타이저만 먹고 나오는 것을 말이죠.

더보기

Just imagine, exploring many different restaurants but only trying their appetizers and never having the patience to stay long enough to try their main dishes.

제 말은, 발만 담가보고 '여기에는 나를 위한 게 하나도 없어'라고 말하면 아무것도 얻을 게 없다는 거예요.

더보기

My point is, we'll never get anywhere or find anything just by dipping our feet and saying "There's nothing in that water for me."

올해 지금까지 영화를 꽤 많이 봤어요. 꽤 괜찮은 게 몇 개 있었어요. 아주 훌륭했던 건 몇 개 안 됐지만 거의 다 평균은 했던 것 같아요.

더보기

I've seen quite a few movies so far this year. A few of them were pretty good. Not many of them were particularly great. Most of them were average, I'd say.

그래도 올해 앞으로 나올 것들 중에는 꽤 재밌어 보이는 것이 몇 개 있더라고요.

더보기

But some of the ones that are coming out later this year look pretty interesting.

방금 새 공기청정기를 샀어요. 한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어요. 한번도 가져본 적이 없어요.

더보기

I just bought a new air-purifier. I've never used one before. I've never owned one before.

아마 진작에 하나 샀어야 했는데 그래도 지금이라도 산 게 어디에요, 그쵸?

더보기

I probably should've gotten one a long time ago but better late than never, right?

아직 도착은 안 했어요. 아직 배송을 기다리고 있어요. 웹사이트에 따르면 앞으로 2-3일 안에 도착할 예정이에요.

더보기

(Anyway) It hasn't arrived yet. I'm still waiting for it to be delivered. According to the website, it should be arriving in the next couple of days.

얼마 전에 우연히 찾게 된 것이 있는데 지난 몇 년 동안 많은 변화를 주고 앞으로 나아가게 저를 많이 도와준 거예요.

더보기

A while back, I came across something that has really helped me make changes and move forward over the past couple of years.

'파레토법칙' 또는 '80/20 법칙'이라고 불리는 아주 잘 알려진 현상이에요.

더보기

It's a very well-known phenomenon called the "Pareto Principle" or the "80/20 rule".

이 법칙이 말하기를, 결과의 80%는 20%의 원인에서 비롯된다는 것이에요.

더보기

The principle states that 80% of effects come from 20% of causes.

기본적으로 그게 무슨 말이냐면, 우리가 얻는 것의 80%는 우리가 하는 일의 20%에서 온다는 말이에요.

더보기

Basically, what that means is (that) 80% of what we gain comes from 20% of what we do.

꽤 비효율적인 것 같죠?

더보기

Sounds pretty inefficient, right?

근데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서 널리 관찰되는 현상이라고 하더라고요.

더보기

Well, apparently, this is a widely observed phenomenon across pretty much all areas.

거의 모든 사업에서 80%의 매출이 20%의 고객으로부터 발생하고

더보기

80% of the sales in most businesses come from 20% of the clients.

거의 모든 국가에서 80%의 땅을 20%의 인구가 소유하고

더보기

80% of the land in most countries is owned by 20% of the population.

대부분의 지역에서 80%의 경작물이 20%의 농지에서 나와요.

더보기

80% of the farm commodities in most areas come from 20% of the farms.

설명할 수는 없지만 이 80/20 법칙이 우리의 삶과 깊게 연관되어 있는 어떤 연결고리가 있는 것 같아요.

더보기

I can't explain it but there's something about this 80/20 rule that seems to be deeply rooted in our system.

지금 그런 생각이 들 수도 있어요. '그래, 좋아. 원래 그런가보지. 그래서 어쩌라고?'

더보기

Now, you might be thinking—"OK. Fine. That's the way things are. What's the big deal?"

80%는 꽤 큰 수예요. 저는 제가 하던 일의 80%가 아무런 의미도 없을 뿐더러 심지어 그게 저에게 안 좋게 작용하고 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이 계속 너무 불편했어요.

더보기

Well, 80% is a pretty big number and I just couldn't get over the fact that 80% of what I was doing wasn't amounting to anything if not holding me back in some way.

그래서 지난 몇 년 간 그걸 좀 완화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더보기

So, for the past couple of years, I've been somewhat trying to mitigate that.

나의 20%가 뭔지를 파악해서 거기에 자원을 집중하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더보기

I've been trying to identify what my 20% was and focusing my resource on it

확실히 잘 짜여진 전략과 실천력이 있다면 누구나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저는 믿어요.

더보기

and, I have to say, I believe that with a well-thought-out strategy and execution, we can all do much better.

이미 얘기를 들은 사람도 있겠지만 저는 앞으로 다른 일을 맡게 됐어요.

더보기

As some of you may have already heard, I've been reassigned.

다음달부로 Kim이 공식적으로 이곳의 책임자가 될 건데요 지금 이 시점부터 그녀가 실질적으로 운영을 하게 될 거예요. 이번 (인사) 이동을 서서히 준비하기 위해서 말이죠.

더보기

As of next month, Kim will officially be in charge here but from this point on, she will effectively be running things as we slowly prepare for this transition.

일단은 크게 바뀌는 것이 없겠지만 여러분도 예상하고 있듯이 차차 변화가 좀 있을 거니까

더보기

For now, everything will be(stay) pretty much the same but, as you can imagine, there will be some changes moving(going) forward.

궁금한 것이 있는 사람은 언제든지 저를 찾아오세요.

더보기

So please feel free to come to me with any questions.

하나의 사회로서 우리 모두는 서로에 대해 어떤 기대를 하죠.

더보기

As a society, we all have certain expectations of one another.

우리는 사람들이 특정 상황에서 특정하게 행동하기를 기대하고 때가 되면 특정 분야에 대한 일정 수준의 지식과 경험, 능력을 갖출 거라고 예상되죠.

더보기

We expect people to behave in certain ways in certain situations and, at one point or another, we're all expected to have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experience and skill in certain things.

이건 대체적으로 좋은 종류의 압박이에요. 사람들로 하여금 스스로 단련하게 만들고 책임감을 갖게 해주니까요.

더보기

This is good kind of pressure, for the most part, because it demands discipline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in people.

근데 또 다른 종류의 사회적 압박이 있어요.

더보기

But there is another kind of social pressure.

저는 그것을 '잘못된 종류'라고 부르는데, 특정 종류의 교육을 추구하거나 특정 유형의 직업을 가지거나 특정 나이가 되면 결혼해야 한다는 등의 압박 말예요.

더보기

I call it 'the wrong kind'—the pressure to pursue a certain kind of education, to have a certain type of job, to be married by a certain age, ...

제가 무슨 말 하는지 아실 거예요. 우리 모두 다 겪어본 일이잖아요.

더보기

You know what I'm talking about. We've all been there.

이건 생활 방식을 선택하는 문제이고 건전한 사회를 위해서는 인간 능력의 다양성이 필요하듯이,

더보기

These are lifestyle choices and just as a healthy society depends on the diversity of human abilities,

우리가 한 선택을 더 이상적으로 보이도록 만들려고 이것이 사회적 배제나 소외로 이어지도록 용인해서는 안 돼요.

더보기

we can't let this lead to social rejection and alienation just to make our (own) choices seem more ideal.

다른 생활 방식을 선택하는 것에 개방적인 태도를 취해야 하죠.

더보기

We have to be open to different lifestyle choices.

'영어공부자료 > 라이브아카데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습가이드 모음 71~80  (1) 2023.02.21
연습가이드 모음 51~60  (1) 2023.02.21
연습가이드 모음 31~40  (1) 2023.02.21
연습가이드 모음 21~30  (1) 2023.02.21
연습가이드 모음 11~20  (1) 2023.02.21

댓글